RME의 오디오 인터페이스(audio interface)는 안정성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개인적으론 안정성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게 RME의 토탈믹스(TotalMix) 소프트웨어다. 단순히 여느 오디오 인터페이스들의 컨트롤패널 또는 내부믹서 정도로만 사용하는 이도 많지만 활용하기에 따라 굉장히 많은 일들을 손쉽게 하게 해준다. 하나 하나 일일이 열거하기엔 너무 많은 내용들이라 여기에선 루프백(LoopBack)기능에 관해서만 조금 이야기 해보고 다른 활용법들은 다음에 다시 포스팅 해볼까 한다. 

RME 토탈믹스엔 루프백이라는 기능이 있다. 인터페이스 출력으로 나오는 소리를 인터페이스 입력으로 다시 보내주는 기능이다. 여타 인터페이스들도 이런 내부라우팅 기능을 가진 제품은 종종 있으나 버튼 하나 클릭 만으로 손쉽게 해주는 제품은 RME 뿐인 것 같다. 예전에 이고시스(EgoSys)의 다이렉트 와이어가 리즌(Reason)의 와이어링처럼 직관적으로 시그널 패스를 눈으로 보여주는 편리함이 있었다면 토탈믹스는 그런 시각적 편리함이 불필요할 정도로 간단하게 되어 있다. 또한 루프백 시에 생길 수 있는 피드백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어 엄한 뻘짓(?)만 안한다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단순히 루프백 시키고 싶은 아웃풋 채널에서 루프백 버튼을 눌러주면 끝이다. 특별히 다른 뭔가를 더 해야할 것이 없다. 그런데 루프백을 활용한 여러가지 작업들 중에 두가지 정도 언급하고 싶은게 있는데 그것만 간단히 설명해보겠다.

1.루프백 사용시 채널 라우팅

루프백을 메인아웃풋에서 활성화 시키면 메인아웃풋의 출력 레벨, 즉 페이더에서 조절된 레벨 크기로만 루프백 시그널이 돌아오게 된다. 오디오 시그널을 원본 크기의 레벨로 받기 위해 귀 터질만큼 페이더를 올릴 수는 없는 노릇이니 이 경우엔 메인아웃에서 루프백을 사용하는건 무리일 수 있다. 따라서 토탈믹스의 믹서 창에서든 또는 매트릭스 창에서든 메인아웃으로 나가는 시그널을 사용하지 않는 아웃풋(디지털이든 안아날로그 아웃이든)으로 똑같이 나갈 수 있도록 라우팅해두고 그 채널의 페이더는 유니티 게인(0dB)으로 설정해두면 언제든 루프백이 필요할 땐 그 채널의 루프백  버튼만 클릭해주면 모니터링 레벨에 상관없이 루프백 시그널을 확보할 수 있다. 내 경우엔 디지털 단자의 안쓰는 채널 하나로 라우팅 시켜서 그 아웃풋 채널의 루프백을 켠 상태로 토탈믹스 스냅샷에 저장해두고 해당 스냅샷 이름을 'LoopBack'로 설정해두었다. 이렇게 하면 루프백이 필요할 땐 그 스냅샷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만으로 루프백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2.애널라이저에 관한 루프백 활용

RME는 자체적으로 디지체크(Digi Check)라는 RME 전용 애널라이저를 제공하기에 DAW 사용시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서 나오는 어떤 소리든 실시간으로 애널라이저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그런데 디지체크는 개발된지 워낙 오래된 구형 애널라이저라 요즘 나오는 Flux, Nugen, SPL 등등의 애널라이저 만큼 좋은 기능을 갖지 않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 사람들은 앞서 언급한 써드파티 애널라이저들을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엔 대부분 애널라이저들이 스탠드얼론 모드를 지원함에도 불구하고 DAW 시그널 모니터링 위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컴퓨터 상의 다른 사운드들을 모니터링 할 경우엔 물리적으로 케이블을 라우팅 시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엔 피드백이 일어나지 않도록 또 다른 라우팅 옵션들을 신경써야 하며 약간의 레이턴시와 약간의 부정확한 모니터링을 감수해야 한다. 하지만 애널라이저를 스탠드 얼론으로 사용할 때 RME 인터페이스들은 단순히 루프백 기능만 활성화 하여도 이런 복잡한 과정없이 스탠드얼론 상의 애널라이저에 컴퓨터에서 나오는 모든 소리를 애널라이징 할 수가 있게 된다. 이미 이렇게 쓰는 분들도 있겠지만 의외로 애널라이저에 루프백으로 신호를 되돌려 사용할 생각을 못하는 사람들이 꽤 많은걸 보고 알려둔다.


RME의 토탈믹스에는 숨겨진(?) 응용방법들이 정말 많이 있다. 상상하고 연구하는 만큼 쓸 수 있는게 토탈믹스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모든걸 적을 순 없지만 앞으로도 기회가 될 때 하나씩 응용방법들을 포스팅 해보도록 하고 오늘은 일단 여기까지 하고 마무리 하겠다.


WRITTEN BY
캐슬롱
DAW,Guitar,Midi,Mixing,Review 등등

,

연말이 되어 어김없이 또 큐베이스의 새로운 버전이 발매되었다. 여러가지 눈에 띄는 기능들이 추가되고 수정되어 나왔다고 한다. 자세한 기능은 아직 나도 업글 전이라 다루긴 힘드니 다른 포스트에서 추후 다뤄볼까 한다. 이 포스팅에는 가격정책에 관한 이야기를 또 한번 해보려 한다.

큐베이스 이번 버전은 최소 업글 비용이 99.99유로, 즉 한화 약 13만원 가량이 소비된다. 큐베이스 프로 버전 9.5에서 10으로의 업글 가격이다. 예전 9.0에서 9.5로 업글 할때엔 비용이 59.99 유로였다. 즉 차례대로 업글을 하는 유저라면 9.0에서 10 으로 업글 비용이 160유로 정도가 소요된다는 것이다.

160유로, 오늘 환율 기준 20만원이 넘는 금액이다. 현재 로직 평생 업글 풀버전의 구매엔 앱스토어에서 199달러(!)가 소요된다. 큐베이스 메이저 업글 한번에 소요되는 금액으로 로직은 평생 무료 사용이라는 것!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지만 큐베이스가 로직보단 훨씬 나은 DAW라 생각한다. 그러나 로직이라고 해서 작업하는데 무리가 있는 것도 아니다. 둘 사이의 가격경쟁력을 보면 로직이 오히려 압도적으로 훌륭하다. 더 이상 로직의 값비싼 동글키가 맥북이라는 농담도 하기 힘들 거 같다.


큐베이스의 쩜오 단위의 업글 정책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혹할만한 업그레이드 요소를 한 두개쯤 집어 넣어둔다. 이제까지 그래왔고 이번도 마찬가지이다. 위 사진을 보면 이번 큐베이스 10 버전의 채널스트립인데 이제까지의 디자인에서 확 벗어나 마치 니브 포르티코의 500시리즈 모듈을 보는 듯한 디자인이 끌리긴 한다. (실제 스테인버그의 인터페이스들은 루퍼트 니브와 협약으로 제조하기 시작했고 플러그인들도 포르티코 계열을 발매하기도 했다.) 이런 외관 뿐 안아니라 소소한 기능들도 여럿 있고 64비트 플로팅 연산이 확실하게 자리잡기도 했다. 이 외에도 Vari-Audio의 업글 등 분명 매력있는 요소들은 여러가지 포함되었다.

그런데 이게 과연 메이저 업그레이드의 가치가 있는가? 개인적으론 전혀 그렇게 느껴지지 않는다. 적어도 현재의 쩜오 단위와 정수 단위의 업그레이드 두가지가 합쳐져야 메이저 업그레이드라 부를 수 있는게 아닌가 싶다. 눈에 띄는 부분 두어개 넣어두고 고작 '사이드 체인 걸기가 수월해졌다', '더블링 트랙 편집이 수월해졌다' 라는 식의 별로 대단치도 않은 내용을 메이저 업그레이드라고 내세우기엔 너무나도 상술의 냄새가 강하다.(게다가 다른 DAW에선 예전부터 다 되던 기능들이다)

프로툴스를 비롯하여 각종 플러그인 등등, 요즘은 월 사용료를 지불하는 구독 개념의 과금방식이 자리잡고 있는데 큐베이스 또한 매해 이런 방식의 업글 정책이라면 실질적 구독방식의 과금과 별 다를 바가 없어진다. 야마하라는 큰 회사가 인수한 탓인지 모르겠으나 갈 수록 상업적 업그레이드 정책이 심해진다고 느낀다. 물론 당연히 이윤 추구는 해야겠지만 프로툴스가 네이티브 버전을 발표한 이후론 오히려 큐베이스가 가장 비싼 대중용 DAW가 되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개인적으로 업글 비용 대비 내용물은 형편없다고 느끼지만 결국은 또 구매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팀원들 용 큐베이스까지 포함해서 총 8카피 업그레이드를 구매해야 하는데 매년 이런 식의 정책이 유지된다면 언젠가 큐베이스가 아닌 다른 DAW로 교체도 고려해봐야 할 것 같다. 비용의 문제도 있지만 그 이전에 매년 연말마다 뭔가 괜히 당하는 듯한 느낌이 불쾌하기도 하다.


WRITTEN BY
캐슬롱
DAW,Guitar,Midi,Mixing,Review 등등

,


큐베이스는 물론이고 여타 어떤 DAW에나 스크럽(Scrub) 툴은 있다. 이 툴을 어떻게 쓰는 가는 개인의 활용법에 달려있기 마련이고 보통 어떤 목적으로 한부분을 느리게 들어봐야할 이유가 있거나 리버스 사운드의 인벨롭을 미리 모니터링을 간편하게 미리 해볼때 또는 샘플단위의 미세한 에디터링이 필요할 때도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여기선 보통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방법중에 하나인 애널라이저와의 연동된 활용법을 간단히 소개만 해보려고 한다.

위 사진은 플럭스(Flux) 사의 Pure Analyzer이다. 이 애널라이저의 경우엔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원하는대로 배치하여 쓸 수 있다. 지금 우측 상단에는 현재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이 배치되어 있다. 워터폴 방식과 더불어 시간 경과에 따른 프리퀀시 스펙트럼의 변화를 모니터링 할 때 매우 유용하다. 개인적으론 워터폴 방식은 뭔가 주파수에 따른 에너지를 파악하기엔 스펙트로그램보단 불편하단 느낌이 있어서 선호하지 않는다.

스크럽 기능으로 다시 돌아와서, 어떤 소스의 짧은 구간동안의 스펙트럼 변화를 알아보려면 단순히 애널라이저의 세팅만으론 한계가 있는 경우가 많다. 가령 원샷 소스들, 킥이나 스네어 등의 짧은 소스를 단순히 애널라이저로 확인할 경우엔 소스의 길이가 워낙 짧은 탓에 에너지가 인벨롭의 어느 구간에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알아내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인벨롭에 따른 에너지 분포를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다면 컴프나 필터 계열의 다이나믹 프로세싱을 하더라도 접근 방식이 좀 더 디테일할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원샷 소스뿐 아니라 어떤 트랙이든 트랜지언트의 에너지 대역을 모니터링 하거나 트랙간의 트랜지언트 타이밍의 에너지 분배에도 유리한 면을 많이 찾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스펙트로그램을 모니터링 하되 DAW의 스크럽 툴을 이용하여 해당 소스를 아주 느리게 긁어주면 스펙트로그램에서 원래 정상속도에선 짧게 뭉쳐서 알수없던 인벨롭에 따라 바뀌는 에너지의 이동을 손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꼭 스펙트로그램이 아니라도 어떤 모니터링 모드에서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있으니 스크럽 툴을 사용한 각자의 애널라이저 활용법은 사용하기 나름이 아닌가 한다.

이렇게 간단히 스크럽 툴과 관련한 애널라이저의 활용에 관해 포스팅 해보았다. 스크럽 툴 뿐만 아니라 DAW에 있는 많은 기능들 중에 대부분 잘 사용하지 않는 여러 기능들중에 애널라이저와 관련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능과 응용 방법들은 의외로 많이 존재한다. 나머지 여러가지 활용 방법들에 대해선 추후 애널라이저에 관한 포스팅을 따로 한번 작성해서 마저 소개해보도록 하겠다.


WRITTEN BY
캐슬롱
DAW,Guitar,Midi,Mixing,Review 등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