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프레서에 관해서는 할 말이 너무나도 많다. 거의 책 한권을 쓸 수 있을만큼의 접근이 가능하다. 그 만큼 컴프레서를 백퍼센트 활용하기란 비단 컴프레서뿐만이 아니라 알아야 할 것들이 너무나도 많이 있다. 그 수 많은 요소들은 시간날 때마다 차차 포스팅 해보기로 하고 이 글에선 컴프레서의 설정에 관해 간단하고 쉬운 팁을 하나 써보기로 한다. 지극히 실사용에 관한 가벼운 팁이니 상세한 세부 설정은 다음 기회에...

지금부터 아주 간단하지만 유용한 컴프 설정 순서를 하나 추천한다. 물론 컴프를 세팅하는 데에 룰은 없으나 아직 컴프레서를 제대로 사용 못하고 있는 이들에겐 꽤 괜찮은 global한 룰이 될 수 있을것이다

1.-인풋 레벨을 낮춘다-

이게 무슨 말인가하면 컴프레서의 레벨을 낮춘다는게 아니라 들어오는 신호 자체를 줄여서 들어오도록 설정한다는 이야기다. 물론 이미 적절한 레벨이라면 건드릴 필요가 없겠지만 그런 경우는 드물다. 가령 같은 3dB를 줄인다고 해도 트레숄드가 어디에서 작동하는가에 따라 즉 0dB에서 3dB를 줄여 -3dB가 되는 것과 -10dB에서 줄여 -13dB가 되는건 완전히 다른 질감을 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건 하드웨어는 당연하며 그걸 복각한 수 많은 플러그인 컴프레서들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설명은 생략하지만 대부분 컴프레서는 트레숄드를 제법 내려줄 때 더 좋은 소리가 날 확률이 커진다.이 트레숄드를 스윗스팟이라 칭한다면 그 스윗스팟을 누리기 위해서 인풋레벨이 적절해야 하는 건데 요즘은 미디 소스,샘플 또는 녹음된 소스까지 레벨이 너무 Hot하게 운용되기에  대부분 소스들은 레벨 자체가 더 낮춰진 상태에서 컴프로 들어오는게  스윗스팟을 제대로 누릴 수 있는 경우가 너무 많다. 일종의 게인 스테이징인데 그거에 관해선 다음 기회에 자세히 써보겠다.

2.-트레숄드를 끝까지 낮춘다.-

그러면 소스가 너무 과하게 컴프레싱되어 쓸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하고... 만약 트레숄드가 없는 컴프들 즉 맨 윗 사진에 있는 1176같은 컴프들은 컴프에 있는 인풋레벨 노브를 끌어올려야 인풋을 아주 높게 세팅해두고 소스 자체의 레벨을 좀 더 조정해 자연스럽게 게인리덕션 미터가 끝에 달라붙는 정도가 된다며 그 상태가 대충 적절한 게인 스테이징이다. 아 그리고 레이쇼는 2:1이나 1.5:1등의 정도로 일단은 낮게 세팅해둔다

3.-어택을 조절한다-

어택 타임을 만져서 소스의 트랜지언트를 어느 정도 살려둘 것인지 정한다. 트레숄드를 끝까지 내린 상태이니 당연히 어택 소리만 들리게 되어 있다. 쩝쩝 달라붙는 타이트한 트랜지언트가 필요하면 어택을 짧게 잡아야 할 것이고 원 소스의 자연스러운 어택감을 유지하려면 어택을 길게 잡으면 된다. 이건 말로 설명할 것 없이 소스를 들어가며 상황에 맞게 판단해야 할 문제이다. 어쨌든 이 상태에서 ADSR의 A부분을 어떻게 설정할 건지는 매우 쉽다.

4.-릴리스를 조절한다-

릴리스 타임을 조절하는 것 역시 이 상태에선 매우 수월하다. 가령 서스테인이나 앰비언스 소리가 펌핑되는 느낌을 원한다면 릴리스를 짧게 하면 이 상태에선 잘 들리게 되어 있고 딱 원하는 펌핑 길이를 설정하기가 쉬울 것이다. 반대로 펌핑이 심하게 되고 있는 상태라면 릴리스를 살짝 늘여가며 해당 소스의 필요한 다음 어택들을 잡아먹지 않는 선까지 조절하면 된다. 이런 작업들은 소스의 인벨롭 상태 뿐만이 아니라 그루브에도 관여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그런 작업들이 무척 수월할 것이다.

5-트레숄드를 올린다-

이전 단계까지에서 필요한 트랜지언트와 서스테인은 세팅이 되었고 이제 트레숄드를 다시 올리면 게인리덕션 양이 줄어 들어갈 것이다. 천천히 올려가며 원하는 소리가 나는 적정 지점보다 약간 높은 트레숄드로 설정한다. 이 지점에서 처음에 세팅한 낮은 레이쇼값을 조금 더 올려보며 좀 더 적절한 사운드가 나는 레이쇼 비율이 있는 지 찾아서 레이쇼 값을 설정해서 마무리한다. 만약 그 상태에서 좀 더 적합한 소리를 찾기 원한다면 그 트레숄드 부근에서 미세하게 1~3dB정도 트레숄드를 조금씩 조정하며 레이쇼와의 조합을 사용하면 된다.

여기까지 해서 간단한 컴프레서 세팅 방법에 대해 써보았다. 물론 이건 컴프레서를 설정하는 수 많은 방법중에 하나다. 가령 드뤄머머 계열 컴프는 릴리스 값에 따라 어택이 변하니 릴리스를 먼저 해야하고 홀드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엔 어택과 릴리스 순서 사이에 홀드도 조정 해야하며 패러랠 방식 컴프레싱 중이라면 4번과 5번사이에 믹스량을 먼저 모니터해봐야 하며 디텍팅 필터가 있는 컴프는 1번과 2번 사이에 필터 대역을 조정해둬야 할 것이다. 이런 저런 컴프가 있기 마련이고 이런 저런 상황이 있기 마련이라  명확한 정답이 될 수 있는 컴프레서 사용법이란건 없겠지만 기본적으로 이 방법을 숙지하고 왜 이런 식이 많은 상황에서 유용한지 충분히 이해하게 된다면 다른 컴프,다른 상황에서도 어렵지 않게 컴프레서를 잘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참고로 컴프레서 사진 하나 퍼올려고 구글 이미지 검색을 했더니 온통 이런 사진들이다 사람들은 오디오 컴프레서에 생각보다 관심이 없는지도ㅎㅎ-------

(이게 컴프레서지-_-;)



WRITTEN BY
캐슬롱
DAW,Guitar,Midi,Mixing,Review 등등

,

DAW의 사용에 있어서 레이턴시는 항상 화두거리다. 문자 그대로 지연 ,즉 딜레이를 말하는 것이지만 딜레이 컴펜세이션,모니터링 레이턴시,타이밍 딜레이 등등 여러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지연 상황들이 있고 그것들을 하나하나 다 이해하는 것들 역시 여러 상황에서 좀 더 나은 작업에 큰 도움이 된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레이턴시라고 말하면 대부분 사람들이 생각하는 바로 그 DAW 레이턴시에 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소리가 발생한 시점에서 3~10ms의 딜레이는 대부분 사람은 레이턴시를 느끼지 못한다. 또한 20~30ms를 초과하는 레이턴시는  원소스와 각각 명확히 분리되어 들리기 시작한다. 문제는 12~15ms 전후의 딜레이인데 이 지점이 흔히 레코딩 시의 모니터링 레이턴시라 불리는 요소들이 많이 있는 구간이고 항상 문제거리가 되는 지점이다.

라운드트립(Roundtrip) 레이턴시는 말 그대로 전체를 한바퀴 다 돈 레이턴시를 말하는데, 즉 싱어나 연주자가 소리를 냈을 때 자신의 헤드폰으로 그 소리를 모니터하며 느끼는 전체 경로의 레이턴시를 지칭한다. 이 라운드 트립 레이턴시가 길어지면 레이턴시라기보다 분리된 딜레이 소스로 명확히 들릴거고 이 경우엔 연주자나 싱어의 퍼포먼스에도 영향을 주게되어 좋은 트랙을 녹음 받는게 거의 어렵다고 생각해도 된다. 위 그림처럼 이 라운드트립 레이턴시를 좀 더 세분화해서 보컬이 일반적인  USB 인터페이스로 녹음받을 때로 상정해 위의 그림처럼 단계별로 살펴보면

1.노래가 마이크를 통해 AD컨버팅되는 시간 : 0.5ms

2.일반적 USB 입력 버스 레이턴시 : 6.0ms

3.ASIO 인풋 레이턴시 : 자신의 설정에 따라

4.ASIO 아웃풋 레이턴시 : 자신의 설정에 따라

5.일반적 USB 출력 버스레이턴시 : 6.0ms

6.헤드폰 아웃으로 DA컨버팅 레이턴시 : 0.5ms

이렇게 하여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버퍼사이즈를 얼마로 세팅해두든 관계없이 일반적인 DAW 모니터링의 경우 기본적으로 걸리는 레이턴시가 1,2,5,6번 과정에서 총합이 13ms가 된다. 그런데 연주자나 보컬의 퍼포먼스에 미묘하게 영향을 주기 시작하는 레이턴시의 지점은 앞서 말했듯이 12~15가 일반적인데 이미 이 기본 레이턴시 합만으로도 벌써 아슬아슬한 단계에 이르게 된다. 문제는 아직까지 ASIO 인풋,아웃풋 레이턴시는 더하지도 않은 상황이라는 거다. 만약 자신의 DAW에서 어떤 버퍼사이즈를 설정해뒀을 때 인,아웃 레이턴시 합이 10ms 정도라면 이미 총합이 23ms ,즉 개인차는 조금씩 있지만 레이턴시를 구분된 딜레이로 느끼는 영역에 들어서기 시작한 셈이 되는거다. 어떻게든 녹음상황에서 이런 불상사를 막아야 하는건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다.

---2편에서 계속---

DAW 모니터링 레이턴시에 관하여(DAW Latency) - 2편




WRITTEN BY
캐슬롱
DAW,Guitar,Midi,Mixing,Review 등등

,

DAW 모니터링 레이턴시에 관하여(DAW Latency) - 1편

---1편에 이어서 계속---

앞선 포스팅에서 레코딩시의 모니터링에 관련된 최소 기본 레이턴시에 관해 알아봤다면 이번엔 기본 레이턴시가 아닌 유저가 조절이 가능한 레이턴시들 ,즉 DAW 내부 레이턴시에 관해 알아본다.

흔히들 DAW에서의 레이턴시를 조절할 때 버퍼사이즈라는 것을 조절하곤 한다.128sample,256sample 등등 작은 숫자일 수록 레이턴시가 더 짧아지는 것은 다 알고 있겠지만 여기서 말하는 sample의 의미를 모르는 분들이 많아 간단히 설명해본다면 버퍼사이즈시의 세팅의 샘플이란 말 그대로 해당 프로젝트의 샘플레이트를 의미한다.가령 흔히 많이 쓰는 프로젝트 세팅인 24/48의 의미는 24비트뎁스에 48KHz의 샘플레이트를 의미하며 48KHz, 다시말해 48000Hz는 1초를 4만8천개로 분할한 최소 단위로 프로젝트가 만들어져 있음을 의미한다.여기서 가령 버퍼사이즈 512sample로 세팅을 했다면 그 최소단위의 샘플 512개만큼의 레이턴시가 생기도록 기본 틀이 형성 되며 그에 따라 발생한 512sample 길이의 레이턴시만큼 컴퓨터가 여유를 가지고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그러니 버퍼사이즈의 샘플 수가 늘어날 수록 레이턴시는 늘어나지만 안정성은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레이턴시를 줄이면 안정성은 떨어지게 되는 셈.


또한 샘플사이즈외에도 드라이버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구동하는가의 사용인터페이스의 기술력에 따라 레이턴시들은 차이가 나며 그 이상으로 중요한 것은 비슷한 버퍼사이즈,비슷한 레이턴시에서 얼마나 프로젝트를 더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가가 무척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PCI계열의 인터페이스가 더 유리한 구조이지만 요즘 들어선 거의 사용하지 않는 인터페이스 부류이고 사실상 USB,1394,썬더볼트 등의 포맷이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라고 봐도 무방하다.PCI보다 불리한 구조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탁월한 안정성,레이턴시 등을 제공하는 업체는 당연히 더 나은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셈이고 RME같은 회사가 세계적으로 많은 이들에게 최고의 인터페이스 중 하나로 인정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레이턴시를 줄여야 연주자나 싱어나 더 훌륭한 퍼포먼스를 보이게 되는 건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따라서 어떻게든 레이턴시를 최소화 하는 건 레코딩 결과물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주게 된다.물론 그 외에도 큐 시그널 퀄리티 등등 모니터링에 중요한 여러 요소가 있지만 일단 여기선 레이턴시에 집중해서 이야기 해본다.

앞서 말했듯이 버퍼사이즈는 샘플 단위이다.그 샘플의 갯수만큼 기본 레이턴시를 늘려 안정성을 확보하는 구조인데 여기서 첫번째로 생각할 부분은 샘플레이트 포맷이다. 샘플레이트가 48KHz일때 다른 요소는 그대로 두고 프로젝트 샘플레이트를 96KHz로 올린다면 1초당 들어가는 샘플의 갯수는 정확히 두배로 늘게되니 결국 샘플 하나의 길이는 샘플레이트를 두배로 올일 때 정확히 2분의 1로 줄어들게 된다. 이 때에 같은 버퍼사이즈 ,가령 512 sample이라면 48과 96의 버퍼사이즈는 같지만 샘플당 길이는 96의 경우에 48에 비해 2분의 1이기에 같은 버퍼사이즈라도 레이턴시도 2분의 1로 줄어든다.

이렇게 DAW 내부 레이턴시를 줄일 방법이 있지만 96KHz 샘플레이트를 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프로젝트이 사이즈 자체에 민감한 사람도 간혹 있을 수 있다. 또한 안정적으로 구동할 사이즈의 레이턴시를 설정했다고 하여도 연주자나 싱어가 민감한 편이라면 레이턴시를 이미 느끼고 있을 거고 결과물에 안좋은 영향을 받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면 DAW내부 레이턴시를 줄여도 해답이 아닌 셈이니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결국 위 사진과 같이 마이크나 악기등의 인풋 소스를 인터페이스로 AD컨버팅 된 상태에서 DAW를 거치지 않고 DA 컨버팅을 거쳐 헤드폰이나 스피커등으로 바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있다. 컨버팅 레이턴시는 앞의 글에서 말했듯이 AD,DA 각각 0.5ms 수준이라 둘을 합쳐도 1ms 정도의 아주 짧은 레이턴시이기에 이런 방법으로 모니터링을 하는 것을 니어 제로 레이턴시라고도 부른다. 거의 실시간 모니터링에 가깝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이 경우 인풋소스를 모니터링할 때 레벨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너무 드라이하거나 등등 여러가지 이유로 모니터링 품질이 낮아서 레이턴시 문제는 해결이 됐지만 또 다른 퍼포먼스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런 모니터링 품질 저하를 애초에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역시 가장 흔한게 프로툴스의 HD 시스템인데 DSP를 사용하여 다시 한번 니어제로 레이턴시에 가깝게 다이나믹이나 공간계의 이펙터를 사용할 수 가 있어서 모니터링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대체용으로 TC일렉트로닉의 파워코어나 포커스라이트의 리퀴드 시스템 등등이 있었지만 지금은 다 단종이 됐고 UAD정도가 살아남은 상황이다. 하지만 UAD의 상술 역시 만만치 않기에 그냥 프로툴스를 최소사양으로 돌려서 녹음용으로 쓰는 사람도 제법 많고 RME나 Yamaha,프리조너스 등등 몇몇 회사들은 높은 CPU파워는 아니지만 인터페이스 자체적으로 DSP를 사용해 모니터링용 정도 까진 무난하게 쓸 수 있는 자체 이펙터들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어서 별 돈 안들이고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된다. 아마 가장 현실적이고 손쉬운 방법이 아닐까 싶다. RME 상위 모델들은 기본적으로 다이나믹,공간계,이큐까지 다 제공하므로 모니터링용으로야 충분히 쓸만하다 생각한다.

사실 전통적인 트루 제로 레이턴시 모니터링을 제대로 구현하려면 역시 하드웨어를 적재적소에 활용을 하는게 유일한 방법이다. 물론 그 하드웨어적인 리얼 제로 레이턴시를 구사하도록 인터페이스 제조사들이 움직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100퍼센터 만족하기는 어렵다. 위 사진처럼 구식의 또는 비싼(?) 방법이지만 아날로그 믹서를 사용한 예전의 레코딩 방식은 트루 제로 레이턴시 모니터링이 실제로 손쉽게 구현이 됐었다. 물론 헤드폰 앰프 품질이나 공간계 이펙터나 등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하면 하드웨어가 계속 추가되거나 또는 제품 선택의 제약이 있거나 등등 많은 변수들이 있을 수 있지만 어쨋든 레이턴시의 축소만 생각하면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도 하다. 요즘의 인터페이스들은 입력단에서 AD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출력으로 보내주는 기능들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럴 경우 앞서 말했듯이 품질을 보장받기 힘들기에 AD,DA 컨버팅 레이턴시 와 DSP프로세싱 레이턴시 정도는 감안하고 라도 니어 제로 레이턴시 방식을 쓰는게 더 편리하고 유용한 방법일 수 밖에 없는 시기다. 물론 경제적으로 무척 여유롭거나 반드시 그래야 할 어떤 이유가 있다면 하나하나 기기들을 선정해서  하드웨어 모니터링 ,즉 트루 제로 레이턴시를 구현해낼 수도 있긴 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엔 니어 제로 레이턴시 셋업에 자체적인 DSP 품질이 어느 정도만 보장된다면 대부분의 레코딩 상황에선 모니터링 품질을 확보하는데 큰 문제가 없을 것이다.

여기까지 레이턴시에 관해 다양하게 접근 해봤는데 내가 가장 강조해서 말하고 싶은건 모니터링 품질이야 말로 결과물 퀄리티와 직결된 다는 점이다. 많은 A급 세션맨들과 같이 작업을 해봐도 실제 녹음 전에 모니터링 밸런스에 까다롭게 구는 사람일 수록 항상 퀄리티가 더 좋았다는 말을 하고 싶다. 작업자들이 흔히 빠지는 컨버터 품질,스피커 품질 등에 딴지를 걸고 싶은 정도는 아니더라도 그것보다 훨씬 중요한건 연주자,싱어의 모니터 품질이라는 걸 다시 한번 강조하고 글을 마친다.


WRITTEN BY
캐슬롱
DAW,Guitar,Midi,Mixing,Review 등등

,

드라우머 1960은 2채널 프리+컴프에 DI와 약간의 이큐를 가진 채널스트립이다 8,90년대 수 많은 해외 유명 뮤지션들의 작업에 널리 쓰이며 더욱 유명해진 장비인데 지금에 와선 그렇게 인기가 많지는 않다.그런만큼 중고 가격도 거의 X값 수준이고 매물 자체도 거의 보기 힘들긴 하지만 혹시라도 구할 수 있다면 가격대비 아주 괜찮은 선택인 것은 틀림없을 것이다.


백 패널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인서트 단자로 사이드체인을 쓸 수 있고 또한 외부 장비와의 연동도 유연하게 지원한다.Aux 인풋 단자는 사실상 기타나 베이스를 위한 Di 단자로 생각해도 되는데 마치 기타앰프처럼 베이스,트레블 컨트롤이 있고 역시나 기타앰프와 같은 노멀,브라이트 채널 등등 라인입력을 위한 편의 기능이 잘 구비되어 있다.

성능이나 소리에 관해서 간단히 이야기 해본다면 밀도감이 훌륭하지만 다소 초고역이 안열리는 두텁지만 깨끗한 사운드이다. 인서트 단자에 어떤 기기로 무엇을 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지만 기본적인 사운드는 그렇다.

프리단은 깨끗한 톤에 진공관을 사용하지 않지만 컴프레서 단은 진공관을 사용하고 있다.컴프 세팅에서 특이한 점은 릴리스 타임 설정에 따라 어택 타임이 변하는 구조이기에 릴리스를 먼저 맞춰두고 어택을 만져야 하는 다소 특이한 방식이다.사실 릴리스 타임중 5,6번 모드는 오토 모드이고 오토모드가 꽤 음악적으로 움직이기에 이걸 쓰는게 좋은 경우가 많다.

요즘 인기많은 니브 복각 장비들이나 묘한 배음을 가진 바리무 계열 컴프 등등의 단단하고 강한 사운드와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특유의 밀도감 있는 두터운,그렇지만 동시에 깨끗한 사운드는 드라우머 1960의 가치를 여전히 높이고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든다.게다가 2채널이다!요즘 2채널 채널스트립들의 가격을 생각하면 1960은 뭐 1+2 수준의 중고가격대가 형성되어 있기에 관심있는 사람은 한번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WRITTEN BY
캐슬롱
DAW,Guitar,Midi,Mixing,Review 등등

,

이미 단종된지 제법된 예전 장비라 이젠 중고로만 구할 수 있는 오래된 채널스트립이지만 지금도 누군가가 채널스트립을 구매하려 한다면 망설임없이 항상 1순위로 추천하는 장비다 여전히 시장엔 새로운 프리앰프,컴프레서,이큐,채널스트립 등등 많은 장비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그 각각의 독립된 아웃보드들중에서 CIB에 포함된 개별기능을 확실히 뛰어넘을 정도의 기기는 여전히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그만큼 CIB는 루퍼트 니브가 설계한 많은 기기들 중에서도 정말 잘 만들어진 장비로 손에 꼽힐만한 베스트 제품이다




니브 아저씨가 아멕에 근무하는 동안 만든 유일한 채널스트립으로 동사의 9098 프리나 컴프와는 또 다른 색감을 가진 기기다 Pure Path 시리즈라는 이름을 내걸고 만든 장비인데 말 그대로의 성격도 가지고 있으나 동시에 빈티지한 색채도 잘 드러나는 다재다능한 채널스트립이다 개인적인 느낌으론 닳고 닳도록 회자되는 빈티지 1073과 니브의 가장 최근 기기인 포르티코,이 성향 다른 그 두 장비들의 장점을 다 갖추고 단점은 잘 보완된 최고의 채널스트립 중 하나라고 본다 이런 기기가 무려 20년이 훨씬 지난 장비인걸 보면 정말 니브 아저씨는 그 네임밸류 이상의 능력자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니브 설계의 장비들은 예전의 빈티지 모델들이 다소 극적인 과도한 사운드였다면 요즘 니브 설계인 포르티코 라인은 거기서 한층 더 부드러움을 갖춘 빈티지,모던 범용의 다재다능한 장비들이라 생각한다.그리고 CIB는 양쪽의 중간쯤에서 두 성격을 다 지닌 채 아주 퀄리티 높은 톤을 내주는 최고의 채널스트립 중 하나가 틀림없다.



WRITTEN BY
캐슬롱
DAW,Guitar,Midi,Mixing,Review 등등

,